무례한 사람에게 휘둘리지 않고 잘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우리는 종종 무례한 사람들과 마주치게 됩니다.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옆자리에 앉는 사람이 옆구리를 툭툭 치며 지나가거나, 음식점에서 주문한 음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소리를 지르는 사람, 심지어 길을 가다가 막무가내로 길을 막는 사람까지. 그들의 거친 언행과 예의 없는 행동은 우리에게 스트레스와 불편을 주고, 상황을 해결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무작정 맞서거나, 무시하거나, 혹은 화를 내는 것은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일상에서 만나는 무례한 사람에게 어떻게 하면 휘둘리지 않고 잘 대처할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차분하고 침착한 태도 유지하기.
무례한 사람과 마주쳤을 때, 화를 내거나 당황하면 무례한 사람의 말에 휘둘리기 쉽고, 오히려 더 크게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그런 상황에서는 내 감정을 통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즉각적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차분하고 침착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이렇게 무례한 상대에게서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는 결국 통제력을 당신이 가지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은 갈등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예의 바르게 대응하기.
무례함에 대항할 때 최선의 방법은 예의와 존중으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상대방이 어떤 이유로든 무례하다면, 우리는 그들보다 나은 모습으로 반응해야 합니다. 정중한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우리 스스로를 보호하면서도, 그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행사하며 상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상황 파악 후 건강한 대화 시도하기.
무례한 사람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이 단순히 기분이 나빴던 것인지, 아니면 정말 악의적인 의도가 있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특히 상대방이 어떤 어려움이나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지 발견하고 이해하면, 상호 간에 더 나은 대화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상대방과 건강한 대화를 시도하면서, 상대방의 의견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경우 갈등의 실마리를 풀어갈 수 있게 됩니다.
4. 명확하고 직접적인 의사소통.
조용하지만 명확하고 직접적인 의사소통은 오해와 혼란을 줄여주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무례한 사람의 행동을 비난하거나 도발하지 말고, 차분하고 단호하게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무례한 사람에게 대응하는 데 더욱 효과적입니다.
5. 경계 설정하고 표현하기.
무례한 행동에 직면하면,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의 경계를 알리고, 무례한 행동을 무한정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사를 명확하고 단호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상황을 피하거나 벗어나기.
상대방이 계속해서 무례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면 상황에 따라 일단 피하거나 대화를 종료하고 나가는 것도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7. 필요시 도움 요청하기.
상황이 심각하거나 위협적이고 혼자서 해결하기 어렵다면, 주위에 있는 사람이나 권위자에게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라면 인사부서나 조직 개선팀 등 해당 분야 전문가와 상담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나 관계자의 도움으로 문제를 제3자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으며 좀 더 나은 해결책을 모색해 갈 수 있습니다.
8. 자아존중감 유지하기.
무례한 사람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을 괴롭히거나 비난함으로써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회복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런 시도에 말려들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는 자기 자신에 대한 존중감을 가지고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때때로 '아니오'라고 말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대방이 우릴 괴롭혔더라도 당당함과 안정감을 보여 줄 수 있습니다. 무례한 사람들을 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무례함에 빠져들지 않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무례한 사람에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무례한 상황에서도 일단은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는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상황에 따라 단호하게 대응하거나 때로는 경찰이나 권위자의 개입 등 다른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상황을 신중하게 판단하되, 안전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것 가장 중요합니다.
'마음건강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증세를 없애는 자기대화법 (1) | 2023.10.10 |
---|---|
불안감을 완화시켜 주는 식사법 (0) | 2023.10.07 |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는법 (0) | 2023.09.29 |
가스라이팅 가해자의 특징 (0) | 2023.09.25 |
명절 스트레스 대처법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