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건강법

몸과 마음이 풀리는 최적의 수면환경 8가지

by 속쟁이이모 2023. 6. 28.
반응형

수면의 질을 높여 몸과 마음이 풀릴 수 있는 8가지 수면환경을 알아보자.

쉼과 회복을 위해서는 성인기준 하루에 최소한 7시간에서 9시간의 수면시간을 확보하고, 규칙적인 수면패턴과 좋은 수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몸의 컨디션이 회복되고, 마음도 풀릴 수 있는 최적의 수면환경에 대해 알아봅니다.

 

 

 

몸과 마음이 풀리는 최적의 수면환경 8가지
몸과 마음이 풀리는 최적의 수면환경 8가지

 

 

 

컨디션 회복과 마음의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최소한 7시간에서 9시간의 수면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더불어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유지하고, 좋은 수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충분히 잠을 잔다 하더라도 깊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컨디션의 회복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면의 양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도 몸과 마음의 피로를 풀고 안정을 찾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다음은 수면의 질을 높여 컨디션을 회복하고 마음의 안정을 찾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8가지의 수면환경 조성법입니다.

1. 조용하고 어두운 곳에서 자기.

수면 환경이 조용하고 어두운 곳이면, 잠을 자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밤에는 가능한 조명을 꺼두고, 외부 소음이 들어오지 않도록 창문을 닫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커튼, 블라인드 또는 아이 마스크를 사용하여 외부 광원을 차단하고 귀마개 또는 백색 소음 기계를 사용하여 파괴적인 소리를 가리는 것도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최적의 수면환경 - 조용하고 어두운 곳에서 자기
조용하고 어두운 침실

 

 

 

2. 적절한 온도와 습도 유지하기.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최적의 수면 온도는 약 18°C 또는 65°F입니다. 너무 덥거나 추운 방에서 자면, 수면의 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방을 시원하게 유지하거나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 주는 가습기나 제습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3. 편안한 침구 사용하기.

편안한 침구를 사용하는 것도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좋은 침구는 몸의 부담을 줄여주고, 편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줍니다. 따라서 취향에 맞고 몸을 지탱하는 양질의 매트리스와 베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정돈되고 차분한 분위기 만들기.

어수선하고 지저분한 침실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휴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침실을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여 휴식과 마음의 평화를 촉진하는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물, 부드러운 조명, 라벤더와 같은 기분 좋은 향기와 같은 차분한 요소를 추가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최적의 수면환경 - 정돈되고 차분한 분위기 만들기
정돈되고 차분한 침실

 

 

 

5. 수면과 휴식을 위해 침실 사용하기.

업무 TV시청 또는 기타 자극적인 활동에 침실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침실을 수면과 연관시키도록 뇌를 훈련시키십시오. 휴식을 위한 전용 공간으로 침실을 사용하십시오.

6. 취침 전 전자기기 제한하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전자기기에서 방출되는 블루라이트는 수면패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취침 최소 1시간 전에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대신 책을 읽거나 차분한 음악을 듣는 것과 같은 편안한 활동을 하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7. 규칙적인 수면패턴 유지하기.

잠자리에 들기 전에 규칙적인 일과를 만들어 긴장을 풀고 수면을 준비할 시간임을 몸에 알립니다. 일정한 수면 패턴을 유지하면, 몸이 자연스럽게 수면상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가능한 매일 같은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루틴에는 따뜻한 목욕, 이완운동 연습, 독서 또는 부드러운 음악 듣기와 같은 활동이 포함되어도 좋습니다. 일관성은 신체가 수면신호를 인식하도록 훈련하는 데 핵심입니다.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유지하는 것은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최적의 수면환경 - 규칙적인 수면패턴 유지하기
규칙적인 수면패턴의 유지

 

 

 

8. 자극적인 물질과 활동 피하기.

카페인, 니코틴 및 알코올은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가끔 모임 중에 섭취할 수는 있으나 숙면을 원하신다면 가능한 저녁에 이러한 물질의 섭취를 제한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격렬한 운동이나 열띤 토론에 참여하는 등 취침 가까운 시간에 자극적인 활동은 삼가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현대인의 수면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것은 스마트폰과 술입니다. 스마트폰과 술을 절제하며 위의 8가지 방법들을 따른다면, 수면의 질을 높여 깊은 잠을 잘 수 있어 몸과 마음의 회복력을 높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